생활정보

중국 PINDUODUO拼多多핀둬둬 운영후기 물류 선택방법

일무시처 2022. 7. 17. 18:37
반응형

1. 핀 둬 둬 판매자 회원 가입방법

 

판매자 회원가입은 역시 중국인이 가입하는 게 가장 편리하다 

 

외국인 신분으로 판매자회원을 가입할 수 없는 건 아니지만 가입하려면 법인 + 상표등록권 +중국 내 보증인 등등 

상당히 많은 절차가 있고 반려될 확률도 높다. 외국기업이 판매 할 수 있는  품목도 제한되어있다 그리고 상표등록 외에 브랜드를 판매하려면 브랜드 수권(라이선스)을 받아야 하는 걸로 알고 있다..

어마어마한 대기업 브랜드사 아니면 사실상 입점이 가능할까..라는 의문도 들긴 하다.

국내에 대행업체 몇 개를 봤는데 결국 대행업체에서 운영하는 샵에 입점하는 것이다.

 

 

 

2. 한국에서 직배송 vs 보세구역 배송

필자는 YUNDA라는 중국 택배사 지점으로 한국에서 -> 중국 고객으로 C2C 디렉트로 보낸다.

1KG의 7000원쯤 하고 배송 기한은 1주에서 2주 정도 걸린다

그리고 C2C 방식으로 거래하려면

*받는 사람의 중국 신분증 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리고 신분증을 기준으로 해외직구 물품에 대해 중국 세관이 과세를 한다. 

*과세율은 보통 구매금액의 20% 라고 하는데.. 명확한 기준이 없어서 뒷죽박죽이다..

상품 판매가 500위안 근접한 상품도 배송해봤는데 과세를 하진 않았다.

 

 

오래 걸리는 배송기간

중국 신분증 정보 필요 

높은 배송비

과세 가능성

 

 

 

 

보세구역 3PL 풀필먼트 배송

파렛트 단위로 중국 보세구역 3PL 창고에 입고시켜서 판매하는 형식이다 아마존 FBA라고 보면 될 듯.

중국 내 배송비 평균 16위안 3천 원

그리고 월 800위안 ERP 사용료와

세금신고비용 오더 하나당 세금신고비용 1위안

1 CBM 당 40위안 월 사용료

이런저런 비용을 생각해보면 보세구역 풀필먼트 배송방식도 그렇게 좋은 조건은 아닌 거 같다

 

그래서 이런 방식은  브랜드사가 라이브 커머스를 진행해 파격적인 조건으로 물량을 한 번에 뽑아내서 판매하는 편이다.

중국에서 단 기간 내에 잘 팔 수 있다는 자신이 있으면 3PL을 이용하는 게 맞다고 본다.

 

 

 

 

 

 

 

 

 

3. 중국 이커머스 특징

필자는 화장품 판매를 위주로 하고 있다 판매하면서 문의도 많이 받아보고 

 

중국 고객의 특징을 적어보자면

 

1. 유명한 연예인이나 영화배우가 CF를 찍은 제품이나 브랜드를 선호하는 편이다.

냉혹하지만 중소기업 제품은 쳐다보지도 않는다 가격이 저렴하거나 입소문을 탔거나 小红书마케팅을 했다거나..

유명한 배우한 명이 정말 잘 먹힌다.

 

2. 한국 온라인 최저 가격으로 중국에 도전하려고 하지 말아라.. 

후, sk2 등 메이저 브랜드 아닌 이상 중소기업 중견기업 브랜드 제품도 한국에 나와있는 최저가보다  중국에서는 더 싸게 팔고 있을 것이고 광고를  태워야 팔릴까 말까 인대  가격까지 비싸면 답이 없다.

예로 들자면 

현재 한국에서 유명한 독도 크림 80ml가 중국에서 28위안에 무료배송이다.

이것만 봐도 답이 나오지 않았는가. 함부로 도전했다가 오히려 코베 인다.

 

3. 잘 알려진 제품 아니면 중국어로 된 상세페이지는 필수다 

 

4. 중국의 대다수의 이커머스들은 무료 배송하는 문화가 있다

무료배송하는 문화가 있기 때문에 배송비를 제품에 잘 녹여야 한다.

 

5.결론.. 중국시장을 절대 간과하지 말아라.

개인 판매자는  마진 20% 이상만 봐도 잘 보는 거다..

무역업체는 부가세만 번다고 하더라..

 

반대로  한번 팔리면 정말 어마어마하게 잘 팔린다..

독도크림 같은경우 월 주문량이 6.6만건이다 ㅎㅎ..

 

 

 

 

 

 

 

반응형